후레임의 주식/코인/차트

반응형

 

크랩 패턴, 박쥐 패턴, 버터플라이 패턴, 가틀리 패턴, 쓰리 드라이버, ABCD 패턴 등이 있습니다.

(각각의 비율은 위 그림 참조)

 

 

 

 

H.M. Gartley(가틀리)에 의해 1932년 만들어졌다. 가틀리는 그의 책에 '가틀리 패턴'으로 알려진 5-포인트 패턴에 대해 소개하였다.

 

Larry Pesavento가 피보나치 비율을 더하여 이를 개선했으며, Scott Carnet가 가틀리 패턴 외에 Crab, Bat, Shark, 5-0 등의 패턴을 발명하였다.

하모닉 패턴의 전반적인 시장과 모든 시간대의 차트에서 잘 들어맞는 편이다.

하모닉 패턴의 주요 골자는 스윙 하이, 스윙 로우와 PRZ(Potential Reversal Zone)를 특정하여 그 이후의 가격 변동을 예상하는 것이다.

설명에서 언급한 패턴들이다.

 

하모닉 패턴으로 거래하기

하모닉 패턴의 D 지점까지 완성이 된 후 매수, 매도 전략을 취할 수 있으며
보통 1차 TP는 A-D의 0.382지점, 2차 TP는 A-D의 0.618지점으로 설정한다.

 

예시)

GBPUSD의 일봉이다.

 

XB 0.592(약 0.618)
AC 0.892(약 0.886)
XD 0.786에 해당하는 Bullish Gartley Pattern이 완성되었다.

이를 통하여 Long 전략을 취해보자.

Stop은 전저점인 X(1.26617)
Entry는 XD 0.786에 해당하는 1.27977
TP #1은 AD의 0.382에 해당하는 1.29890
TP #2는 AD 0.618에 해당하는 1.31073로 설정하였다.

각각 P/L은 1.41, 2.28에 해당하는 준수한 손익비이다.

이제 결과를 살펴보자.

Stop에 걸리지 않고 AD 0.382과 0.618 지점 모두 터치하여 수익을 챙길 수 있었다.

물론, 하모닉 패턴도 어디까지나 통계에 기반한 것이므로 하모닉패턴 한가지 도구만 이용하여 매매를 하는 우는 범치 않도록 하자.

하모닉 패턴은 생각보다 승률이 낮으므로 PRZ를 참고하는 용도정도로 생각하면 좋겠다.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Please Enable JavaScript!
Mohon Aktifkan Javascript![ Enable JavaScript ]